입시,시험, 공부 정보
2025 대입 / 2025 대입 전형 / 2025 수능
입시찐
2023. 5. 25. 09:56
모든 것이 완벽하게 준비되어 있기 힘든 대한민국의 입시는 정보 싸움입니다. 그렇다면 현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가장 먼저 챙겨야 할 것은 입시 일정을 확인하는 것이겠지요? 어떤 것이 변화하는지 유지하는 것은 무엇인지 가장 먼저 체크하는 것이 좋습니다.
2025년 대입 일정
교육부가 발표한 2025학년도 대학입시전형시행계획에 따른 일정입니다.
구분 | 내용 | ||
수시 모집 |
원서접수 | 2024. 09. 09.(월) ∼ 13.(금) 중 3일 이상 | |
전형기간 | 2024. 09. 14.(토) ∼ 12. 12.(목)(90일) | ||
합격자 발표 | 2024. 12. 13.(금)까지 | ||
합격자 등록 | 2024. 12. 16.(월) 18.(수)(3일) | ||
수시 미등록 충원 합격 통보 마감 | 2024. 12. 26.(목) (합격자 발표 18시까지) ※ 홈페이지 발표는 14시까지, 14 ~ 18시까지는 개별 통보만 가능함 |
||
수시 미등록 충원 등록 마감 | 2024. 12. 27.(금) 22시까지 | ||
정시 모집 |
원서접수 | 2024. 12. 31.(화) 2025. 01. 03.(금) 중 3일 이상 | |
전형기간 | 가군 | 2025. 01. 07.(화) 14.(화)(8일) | |
나군 | 2025. 01. 15.(수) 22.(수)(8일) | ||
다군 | 2025. 01. 23.(목) 02. 04.(화)(13일) | ||
합격자 발표 | 2025. 02. 07.(금)까지 | ||
합격자 등록 | 2025. 02. 10.(월) 12.(수)(3일) | ||
정시 미등록 충원 합격 통보 마감 | 2025. 02. 19.(수) (합격자 발표 18시까지) ※ 홈페이지 발표는 14시까지, 14 18시까지는 개별 통보만 가능함 |
||
정시 미등록 충원 등록 마감 | 2025. 02. 20.(목) 22시까지 | ||
추가 모집 |
원서접수,전형일, 합격자 발표, 등록 |
2025. 02. 21.(금) 28.(금) ※ 합격통보마감: 2025. 02. 28.(금) 18:00까지 ※ 홈페이지 발표는 14시까지, 14 18시까지는 개별 통보만 가능함 |
|
등록 기간 | 2025. 02. 28.(금) 22시까지 |
2025년 대입 변화
첫째, 전체 모집 인원은 줄었으며, 2024학년도의 선발 기조를 유지하기로 하였습니다.
- 학령 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대학도 자체 구조조정 등을 하였다고 합니다. 그 결과, 전년도인 2024년의 모집 인원보다 3,362명이 감소한 340,934명을 선발한다고 발표했습니다.
- 수시와 정시의 모집 비율에는 약간의 변화가 있습니다. 수시 비중이 79.6%로 271,481명이고, 정시 비중이 20.4%(로 69,453명으로 최근 5년 중에서 수시 모집 비율이 가장 높습니다. 총 모집인원은 줄어서 2024년에 비해서수시가 551명, 정시가 2,811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납니다.
둘째, 수시 학생부와 정시 수능 위주 선발 기조는 유지하기로 했습니다.
- 수시의 86.0%를 학생부전형 위주로, 정시의 91.9%를 수능전형 위주로 선발한다고 합니다.
-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들의 수시 모집 학생부 위주 전형은 교과가 672명 증가, 학생부 종합 전형이 400명 감소하였고, 정시 모집인 수능 위주 전형은 701명 감소하였습니다.
- 비수도권에 위치한 대학들의 수시와 정시 모집 인원은 전반적으로 줄었습니다.
(단위: 명, 2023. 4. 20. 기준) | |||||
모집 시기 |
권역 | 전형유형 | 2025학년도(A) | 2024학년도(B) | 증감(C)=(A)-(B) |
수시 | 수도권 | 학생부위주(교과) | 27,806(32.4%) | 27,134(31.8%) | 672 |
학생부위주(종합) | 37,867(44.1%) | 38,267(44.9%) | -400 | ||
논술위주 | 9,778(11.4%) | 9,473(11.1%) | 305 | ||
실기/실적위주 | 8,241(9.6%) | 8,020(9.4%) | 221 | ||
기타 | 2,154(2.5%) | 2,362(2.8%) | -208 | ||
수도권 소계 | 85,846(100.0%) | 85,256(100.0%) | 590 | ||
비수도권 | 학생부위주(교과) | 126,669(68.2%) | 126,987(68.0%) | -318 | |
학생부위주(종합) | 41,057(22.1%) | 41,091(22.0%) | -34 | ||
논술위주 | 1,488(0.8%) | 1,741(0.9%) | -253 | ||
실기/실적위주 | 14,290(7.7%) | 14,519(7.8%) | -229 | ||
기타 | 2,131(1.1%) | 2,438(1.3%) | 307 | ||
비수도권 소계 | 185,635(100.0%) | 186,776(100.0%) | -1,141 | ||
수시 소계 | 271,481 | 272,032 | -551 | ||
정시 | 수도권 | 수능위주 | 43,117(93.2%) | 43,818 (93.1%) | -701 |
실기/실적위주 | 2,987(6.5%) | 3,050(6.5%) | -63 | ||
학생부위주(교과) | 22(0.0%) | 47(0.1%) | -25 | ||
학생부위주(종합) | 129(0.3%) | 128(0.3%) | 1 | ||
기타 | 25(0.1%) | 8(0.0%) | 17 | ||
수도권 소계 | 46,280(100.0%) | 47,051(100.0%) | -771 | ||
비수도권 | 수능위주 | 20,710(89.4%) | 22,482(89.2%) | -1,772 | |
실기/실적위주 | 2,237(9.7%) | 2,465(9.8%) | -228 | ||
학생부위주(교과) | 152(0.7%) | 181(0.7%) | -29 | ||
학생부위주(종합) | 54(0.2%) | 34(0.1%) | 20 | ||
기타 | 20(0.1%) | 51(0.2%) | -31 | ||
비수도권 소계 | 23,173(100.0%) | 25,213(100.0%) | -2,040 | ||
정시 소계 | 69,453 | 72,264 | -2,811 | ||
합계 | 340,934 | 344,296 | -3,362 |
셋째, 사회통합전형 선발이 의무화됨에 따라 대학별로 선발 현황이 달라졌습니다.
- '사회통합전형'인 기회균형 선발과 지역균형 선발의 모집 인원이 증가하였습니다.
- 수도권 소재 대학의 지역균형 선발, 즉, 교과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을 고등학교장이 추천하는 방식,은 2024년 대비 총 518명이 감소하였습니다.
- 하지만, 지역인재전형 모집인원은 215명 증가하였습니다.
넷째, 학교 폭력에 대한 조치 사항이 대학에 따라 자율 반영됩니다. 최근들어 크게 이슈가 되고 있는 학교 폭력을 대입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추세가 될 것 같습니다.
- 학생부종합전형에 반영하는 대학이 112개교,
- 학생부교과전형에 반영하는 대학이 27개교,
- 수능위주인 정시에 반영하는 대학이 21개교,
- 또한, 체육특기자 특별전형에는 학폭 조치사항이 필수적으로 반영된다고 합니다. 이 전형을 운영하는 대학은 88개교입니다.
다음은 학폭 조치 사항을 반영하기로 발표한 대학들입니다.
전형유형 | 2025학년도 | 개교 |
학생부종합전형 | 가천대, 가톨릭대, 강남대, 강원대, 건국대, 건양대, 경기대, 경남대, 경북대, 경상국립대, 경인교대, 경일대, 경희대, 계명대, 고려대, 고려대(세종), 고신대, 공주교대, 공주대, 광운대, 광주교대, 국민대, 군산대, 금오공과대, 나사렛대, 남서울대, 단국대, 대구가톨릭대, 대구교대, 대구한의대, 대진대, 덕성여대, 동국대, 동국대(WISE), 동덕여대, 동서대, 동아대, 동의대, 명지대, 목원대, 목포대, 배재대, 백석대, 부경대, 부산가톨릭대, 부산교대, 부산대, 부산외국어대, 삼육대, 상명대, 서강대, 서울교대, 서울과학기술대, 서울대, 서울시립대, 서울여대, 선문대, 성균관대, 성신여대, 세종대, 숙명여대, 순천향대, 숭실대, 신한대, 아주대, 안동대, 연세대, 연세대(미래), 영남대, 원광대, 울산대, 을지대, 이화여대, 인천대, 인하대, 장로회신학대, 전남대, 전북대, 전주교대, 전주대, 제주대, 조선대, 중앙대, 진주교대, 차의과학대, 청주교대, 총신대, 춘천교대, 충남대, 충북대, 평택대, 포항공과대, 한경국립대, 한국공학대, 한국교원대, 한국교통대, 한국기술교대, 한국외국어대, 한국항공대, 한국해양대, 한남대, 한동대, 한림대, 한밭대, 한서대, 한성대, 한신대, 한양대, 한양대(ERICA), 협성대, 호서대, 홍익대 | 112 |
학생부교과전형 | 가천대, 가톨릭대, 감리교신학대, 건국대, 경기대, 경북대, 경일대, 계명대, 고려대, 광신대, 대전가톨릭대, 덕성여대, 동국대, 목포대, 부산대, 서울시립대, 세종대, 숙명여대, 아신대, 연세대, 이화여대, 장로회신학대, 중앙대, 평택대, 한경국립대, 한양대, 홍익대 | 27 |
수능위주전형 | 가톨릭대, 감리교신학대, 건국대, 경기대, 경북대, 경일대, 계명대, 고려대, 고려대(세종), 국민대, 대전가톨릭대, 부산대, 서울대, 서울시립대, 세종대, 아신대, 장로회신학대, 전북대, 전주교대, 한양대, 홍익대 | 21 |
논술전형 | 가톨릭대, 건국대, 경기대, 경북대, 부산대, 서울시립대, 세종대, 한양대, 홍익대 | 9 |
실기/실적전형 (체육특기자 제외) |
가천대, 가톨릭대, 건국대, 경기대, 경북대, 경운대, 경일대, 경동대, 계명대, 고려대, 고려대(세종), 광신대, 국민대, 명지대, 부산대, 서울대, 서울시립대, 성균관대, 세종대, 아주대, 연세대, 이화여대, 총신대, 한양대, 홍익대 | 25 |
체육특기자전형 | 가톨릭관동대, 강릉원주대, 강원대, 건국대, 건국대(글로컬), 경기대, 경남대, 경북대, 경상국립대, 경성대, 경일대, 경희대, 계명대, 고려대, 고려대(세종), 공주대, 광운대, 국민대, 군산대, 나사렛대, 단국대, 대구가톨릭대, 대구대, 대전대, 동국대, 동국대(WISE), 동명대, 동신대, 동아대, 동의대, 명지대, 목원대, 목포대, 목포해양대, 배재대, 백석대, 부산대, 부산외국어대, 삼육대, 상명대, 상지대, 서원대, 선문대, 성결대, 세종대, 순천대, 순천향대, 숭실대, 신라대, 신한대, 아주대, 안동대, 안양대, 연세대, 영남대, 용인대, 우석대, 우송대, 울산대, 원광대, 위덕대, 유원대, 인제대, 인천대, 인하대, 전주대, 제주대, 조선대, 중부대, 중앙대, 중원대, 창원대, 청주대, 충남대, 충북대, 한경국립대, 한국교통대, 한국체육대, 한국해양대, 한남대, 한라대, 한림대, 한양대, 한양대(ERICA), 한일장신대, 호서대, 홍익대, 화성의과학대 | 88 |
다섯째, 문이과 통합으로 인한 선택과목을 필수 반영하는 것을 폐지하는 대학이 증가하였습니다.
- 선택과목과 관계없이 자연, 공학, 의학계열 지원 가능 대학이 증가하였습니다.
- 다음의 17개 대학에서 수능에서 미적분/기하, 과학탐구를 필수 반영하는 것을 폐지하였습니다. 건국대, 경희대, 광운대, 국민대, 동국대, 서울과기대, 성균관대, 세종대, 숭실대, 아주대,연세대, 이화여대, 인하대, 중앙대, 한국항공대, 한양대, 한양대(ERICA)
참조 사이트: